큰 사람이 되세요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9. 07:22
728x90
반응형

제647호 | 2006-08-08

큰 사람이 되세요


크게 생각하고, 크게 행동하고, 크게 꿈꾸어라. 5달러짜리 보통 철 조각이 어떤 형태로 바뀔 수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편자로 바뀌면 그 철은 10.50 달러가 된다. 못으로 바뀌면 3,250.85달러가 되며, 시계의 부속품이 되면 자그마치 250,000달러로 가치가 뛰어 오른다. 이는 다른 종류의 물질, 바로 당신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다! - 콘라드 힐튼 (힐튼 호텔 창립자), ‘비즈니스 위즈덤’에서 인용

행경 Talk


실패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의 능력을 잘못 판단하고 자신의 중요성과 가치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성공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현 상태에 대해 결코 만족하지 않고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면서 쉬지 않고 개선해 나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들은 만족과 안주(安住)가 곧 쇠퇴의 시작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자신의 가치는 자신이 만드는 틀로 결정됩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7

728x90
반응형

기업내 모든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8. 07:27
728x90
반응형

제646호 | 2006-08-07

기업내 모든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만이 매장에서의 실상을 제대로 알고 있다. 최고 아이디어는 평사원으로부터 나온다. 조직 하부에 까지 책임감을 부여하라. 그리고 그 안에서 아이디어가 솟아나도록 하라. 당신은 동료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야만’ 한다.

- 샘 월튼, 월마트 창업회장

행경 Talk


경영자가 10번을 얘기해야 직원들이 비로소 이해하기 시작하듯이 직원이 10번은 얘기해야 경영자도 비로소 관심을 기울이게 됩니다. 경영자는 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직원들은 경영자에게 좋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매우 꺼려합니다. 경영자는 직원들의 자그마한 소리를 온전히 듣는 자세로 경청해줘야 합니다. 말을 안하기 시작하는 조직은 죽어가는 조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5

728x90
반응형

행복한 직원은 행복한 고객들과 같다.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7. 07:20
728x90
반응형

제7호 | 2006-08-04

행복한 직원은 행복한 고객들과 같다.

얼마 전 포춘지는 ‘행복한 직원은 행복한 고객들과 같다. (A Happy Staff Equals Happy Customers)'라는 주제의 기사를 대서특필 했습니다. 회사가 직원들의 행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면, 직원 역시 회사와 고객들에게 모든 것을 줌으로써 보답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입니다. 우리가 만들어가고자 하는 행복경영과 똑 같은 개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직원, 고객, 사회, 주주등 이해관계자 모두가 행복해지는 행복한 경영을, 이상이 아닌 현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조영탁 Dream-

행경 Talk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6

728x90
반응형

자신의 운명에 책임감을 느끼게 하려면...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6. 07:21
728x90
반응형

제643호 | 2006-08-01

자신의 운명에 책임감을 느끼게 하려면...


직원이 자신의 운명에 대해 좀더 많이 책임감을 느끼기를 바란다면 관리자는 내적 헌신을 이끌어내야 한다. 원칙적으로 내적 헌신은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권한이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직원의 내적 헌신을 원한다면 원대한 목표를 정하고 세부 목표를 수립하며 목표를 성취할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 직원들을 더 많이 참여시켜야 한다. - 크리스 아지리스 (하버드 대학 교수)

행경 Talk


일찍이 18세기에 영국 법리학자 윌리엄 앨턴 존스는 ‘가장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보다는 동료의 두뇌와 재능을 조화롭게 이용하는 사람이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동료의 재능을 활용하고 싶다면 오너십을 심어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중요한 의사결정에 가능하면 많이 참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2

728x90
반응형

고객이 고객을 부르는 ‘250의 법칙’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5. 07:20
728x90
반응형

제642호 | 2006-07-31

고객이 고객을 부르는 ‘250의 법칙’


한 사람의 인간관계 범위는 대략 250명 수준이다. 나는 한 사람의 고객을 250명 보기와 같이 한다. 한 사람의 고객을 감동시키면 250명의 고객을 추가로 불러올 수 있다. 반면에 한 사람의 신뢰를 잃으면 250명의 고객을 잃는 것이다. - 미국 자동차 세일즈 왕 조 지라드 (Joe Girard)

행경 Talk


35세 까지 40여개 직장을 전전하던 별 볼일 없던 사람이었던 조 지라드는 250 법칙을 깨닫고 고객 한명 한명에게 최선을 다함으로써 연간 3,001대의 자동차를 팔아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로 최고 세일즈맨이 되었습니다. ‘한 사람의 고객을 250명의 고객처럼 대하라’고객중심사회에서 꼭 새겨야할 귀중한 법칙임에 틀림없습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1

728x90
반응형

고3 보다 더 열심히 공부하는 직장인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4. 07:27
728x90
반응형

제6호 | 2006-07-28

고3 보다 더 열심히 공부하는 직장인

“스페인 태생으로 첼로의 성자(聖子)로 불렸던 파블로 카잘스는 95세 때에도 하루에 여섯 시간씩 첼로 연습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 대한민국의 성장은 교육열에 의해 견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교육열은 대학에서 멈추고 있습니다. 직장인이 고 3학생보다 더 열심히 공부하는 나라, 세계를 선도하는 위대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일조하겠습니다. 조영탁 Dream

행경 Talk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30

728x90
반응형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3. 07:25
728x90
반응형

제641호 | 2006-07-27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기업이 오직 돈을 벌기 위해 존재한다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돈은 기업의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는 더욱 깊이 생각하고 존재의 진정한 이유를 찾아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혼자서는 성취하지 못할 일을 성취하고, (진부한 말이기는 하지만)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함께 모여 기업이라는 조직으로 존재한다는 결론에 도달 할 것이다. - 휴렛 팩커드 공동 창업자 데이비드 패커드

행경 Talk


과거에는 정직하면 돈을 벌지 못한다는 생각이 주를 이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정직해야만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유한 킴벌리 문국현 사장) 착한 기업이 성공하는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렇게 되어야만 기업가가 존경과 신뢰를 받는 사회가 도래합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29

728x90
반응형

지적능력과 감성지능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2. 07:31
728x90
반응형

제640호 | 2006-07-26

지적능력과 감성지능


지적 능력을 지나치게 중요시하지 말아야 한다. 물론 지적 능력이 강력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인간미가 없다. 즉 사람들에게 봉사하지만 그들을 이끌지는 못한다.

- 앨버트 아인슈타인

행경 Talk


거의 모든 직업의 성공요인이 지적능력에서 감성지능으로 바뀌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새가 좌우 양 날개로 날아가는 것처럼, 지적 능력(IQ)과 감성능력(EQ) 둘 다 중요합니다. 다행인 것은, 지적능력이 꾸준히 개발 가능한 것처럼, 감성지능도 노력에 의해 얼마든지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28

728x90
반응형

언제 배움을 멈출 것인가?

행복한경영이야기 2025. 3. 1. 07:26
728x90
반응형

제639호 | 2006-07-25

언제 배움을 멈출 것인가?


“카잘스 선생님, 당신은 이미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첼리스트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95세 나이임에도 아직까지 하루에 여섯 시간씩 연습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스페인 태생으로 첼로의 성자(聖子)로 불렸던 파블로 카잘스에게 젊은 신문기자가 물었다.

그는 머뭇거리지 않고 이렇게 대답했다.

“왜냐하면 내 연주실력이 아직도 조금씩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오” - 현대인재개발원, ‘체어퍼슨 뉴스레터’에서 재인용


행경 Talk


많은 예술가들이 ‘하루 연습하지 않으면 자기가 알고, 이틀 연습하지 않으면 동료가 알고, 사흘 연습하지 않으면 청중이 안다’는 각오로 연습에 열중합니다. 일찍이 이병철 회장도 ‘사람은 늙어서 죽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닦아 나가기를 멈출 때 죽음이 시작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평생학습, 이는 모든 직장인에게 공통되는 일입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를 가져가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ppyceo.or.kr/Story/ContentsView?num=727

728x90
반응형